야마구치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구치현 선거구는 야마구치현 전역을 관할하며, 2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이다. 2022년 9월 기준 유권자 수는 1,133,921명이다. 이 지역은 자유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하며, 2004년 이후 자민당이 2석을 독점하고 있다. 역대 의원으로는 구루스 다케오, 아베 기미코, 후타쓰기 겐고 등이 있으며, 최근 선거에서는 에지마 기요시와 기타무라 쓰네오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구치현의 선거구 - 야마구치현 제1구
야마구치현 제1구는 일본 중의원 선거구로, 우베시, 야마구치시, 호후시를 관할하며, 자민당의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이다. - 야마구치현의 선거구 - 야마구치현 제4구
야마구치현 제4구는 자유민주당의 텃밭으로 아베 신조의 정치적 기반이었으나, 아베 신조 피살 사건으로 2023년 보궐선거에서 요시다 신지가 당선되었고, 2022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제50회 총선부터 선거구가 폐지되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선거구
에히메현 선거구는 에히메현 전체를 지역구로 하며, 참의원 의원 2명을 선출하고, 2022년 제26회 선거에서 야마모토 준코가 당선되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와카야마현 선거구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로서 와카야마현 전체를 관할하며 2명의 의원을 선출하고, 자유민주당의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이나 과거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야마구치현 선거구 | |
---|---|
개요 | |
국가 | 일본 |
선거구 | 야마구치현 선거구 |
선출 의원 수 | 2석 (대선거구제) |
설치 연도 | 1947년 |
폐지 연도 | 존재 |
역사 | |
1947년 제1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 선거구 설치 (정수 2석) |
1950년 제2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 선거구역 변경 |
1992년 제16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 정수 2석 → 4석 |
2007년 제21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 정수 4석 → 2석 (선거구역 변경) |
선거 결과 (최근) | |
선거 | 2022년 제26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
당선자 | 기타무라 쓰네오 (자유민주당) 하야시 요시마사 (자유민주당) |
2. 선거구 정보
지역 | 야마구치현 전역 |
---|---|
의원 정수 | 2명 (개선 정수 1명) |
유권자 수 | 1,133,921명 (2022年|2022년일본어 9월) |
야마구치현은 보수 왕국이라 불릴 정도로 자민당의 지지세가 강한 지역이다. 1989년 제15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사회당 소속 야마다 겐이치가 당선되기도 했으나, 1995년 제17회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 하야시 요시마사에게 패배하였다.[16] 1998년 제18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마쓰오카 마사오가 당선되었다.[19]
(1947년: #1, 6년 임기)
야마구치현 선거구는 야마구치현 전체를 관할한다. 참의원 의원 정수는 2명이며, 3년마다 1명씩 개선한다.
3. 역사
2004년 제20회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 기시 노부오가 당선된 이후,[21] 하야시 요시마사와 기시 노부오가 의석을 양분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2013년 기시 노부오가 중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사임하면서 보궐 선거가 치러졌고, 자민당 에지마 기요시가 당선되었다. 같은 해 제23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하야시 요시마사가 4선에 성공했다.
2016년 제24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에지마 기요시가 재선에 성공했다. 야권은 통일 후보를 냈지만, 에지마 기요시에게 큰 표차로 패배했다. 2019년 제25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하야시 요시마사가 5선에 성공했다. 2021년 하야시 요시마사의 중의원 선거 출마로 보궐선거가 실시되었고, 자민당 기타무라 쓰네오가 당선되었다. 2022년 제26회 참의원 선거에서는 에지마 기요시가 3선에 성공했다.
이처럼 야마구치현은 자민당의 강력한 지지 기반을 바탕으로 보수 정당이 우세를 보이는 지역으로,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진보 정당의 세력 확대가 어려운 곳으로 평가된다.
4. 역대 의원
#1
(1947년: #2, 3년 임기)1947년[1] 구루스 다케오 (자유당) 히메이 이스케 (사회당) 1950년[2] 나카가와 모치나가 (자유당) 1953년[3] 아베 기미코 (무소속) 1956년[4] 기노시타 유케이 (사회당) 1959년[5] 요시타케 에이치 (자민당) 1962년[6] 후타쓰기 겐고 (자민당) 1965년[7] 1968년[8] 1971년[9] 1974년[10] 1977년[11] 오자와 다로 (자민당) 1980년[12] 에지마 아쓰시 (자민당) 1983년[13] 마쓰오카 마사오 (자민당) 1986년[14] 1987년 재보궐 선거[15] 후타쓰기 히데오 (자민당) 1989년[16] 야마다 겐이치 (사회당) 1992년[17] 1995년[18] 하야시 요시마사 (자민당) 1998년[19] 마쓰오카 마사오 (무소속) 2001년[20] 2004년[21] 기시 노부오 (자민당) 2007년[22] 2010년[23] 2013년 재보궐 선거 에지마 기요시 (자민당) 2013년 2016년 2019년 2021년 재보궐 선거 기타무라 쓰네오 (자민당) 2022년